원클릭에이아이

part1 로봇

part1.
얼굴인식 로봇 만들기

프로젝트 목표 및 학습 내용

AI 원리 체험
얼굴 인식 AI가 어떻게 데이터를 추출하고 사물을 구별하는지 직접 체험하며 인공지능의 기본 원리를 학습합니다.
HW/SW 융합
3D 프린팅 부품을 조립하고 코드를 작성하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이해합니다.
창의적 문제 해결
스스로 로봇의 움직임을 설계하고 코딩하며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창의적이고 논리적 사고를 키웁니다.

핵심 기술 요소

얼굴인식 로봇 만들기 프로젝트는 다양한 기술의 집약체입니다.

AI가 데이터를 분석하고, 마이크로비트가 명령을 내리면, 3D 프린팅된 로봇이 움직입니다. 각 기술이 프로젝트에서 차지하는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AI

oneclickai를 활용해 얼굴 방향 및 입 크기 등 핵심 데이터 추출

블록 코딩

makecode를 사용해 시각적 코딩 수행, 로봇의 동적 움직임 구현

마이크로 비트

AI로부터 받은 값을 기반으로 로봇 제어

3D 프린팅

로봇의 외형 부품을 조립하여 형태 완성

전체 활동 흐름

로봇 제작 이미지

1. 로봇 제작

3D 프린트 부품 조립

블록 코딩 이미지

2. 블록 코딩

Makecode 블록코드 작성

실습 테스트 이미지

3. 실습 테스트

사용자 동작 따라하기

AI는 무엇을 보고 있을까요?

AI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에서 다양한 특징점을 추출합니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주로 두 가지 핵심 데이터를 사용하여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합니다.

Yaw(고개 좌우 방향)
얼굴이 위쪽 또는 오른쪽으로 얼마나 기울었는지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을 로봇 머리의 좌우 회전을 제어하는 데 사용합니다.
Mouth(입 크기)
입을 얼마나 크게 벌렸는지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값은 로봇의 입을 여닫는 동작을 제어하는 데 활용됩니다.

연결 방식 비교: USB vs. 블루투스

USB

물리적 케이블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입니다.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여 초기 설정 및 디버깅 시 유리합니다.

다만, 선으로 연결된 만큼, 로봇의 이동에 제약이 있습니다.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주변 환경이나 기기 간의 호환에 따라 연결이 불안정하지만, 선 연결에 구애받지 않고 동작을 테스트해볼 수 있습니다.

선생님을 위한 수업 팁과 에러 사례

진행 팁 이미지

진행 팁

초등학생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블록코딩으로 진행됩니다.

하드웨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조립 전 부품을 테스트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학생들이 자신만의 독창적인 움직임을 추가하도록 유도해 창의력을 자극해주세요.

주요 에러 사례 이미지

주요 에러 사례

1. 시리얼 연결이 안 될 때

PC의 포트 설정을 확인하고 케이블을 다시 연결해주세요.

2. 서보모터가 움직이지 않을 때

마이크로비트의 전원과 서보모터의 핀 번호가 올바르게 연결되었는지 확인해주세요.

얼굴인식 로봇 구매 및 수업 자료 안내

구매를 원하시면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를 방문해주세요.
수업에 필요한 자료는 노션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